본문 바로가기
건강

증상에 따라 달라지는 여성 요실금 수술, 비수술 치료법

by 헬시포웰 2024. 5. 29.
반응형

여성 요실금 치료법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치료에 있어 첫번째는 어떤 치료를 시행할지를 선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요. 이때 확인해야 할 것은 수술이 필요한지 아니면 약물로도 증상이 완화될 수 있는지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수술이 필요한 케이스는 대부분 구조적 또는 해부학적인 문제를 띄고 있는 복압성 요실금인데요. 이런 경우 약물, 운동요법으로만 으로는 개선이 힘들기에 수술적인 방법이 동원되게 됩니다.

 

그러면 약물 및 운동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어떤 케이스 일까요?

비수술적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는 질환 중 대표적인 케이스는 절박성 요실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절박성 요실금은 해부학적인 문제 하고는 관계없이 방광 근육과 신경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데요. 그래서 케겔운동과 약물 치료를 먼저 시행하여 근기능 개선 및 방광 신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드린다고 합니다.

 

여성 요실금 수술 비수술 치료법
증상에 따라 달라지는 여성 요실금 수술, 비수술 치료법 - 참조: 포웰의원

 

요실금 비수술 치료법

 

1. 케겔운동(골반저근운동)

케겔운동은 골반 근육을 강화시켜 주는 운동으로 요실금 및 방광염 같은 배뇨장애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보통 약물로 개선이 힘들거나 수술을 할 수 없는 분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데요. 이때 케겔운동은 총 5단계로 나눠 진행됩니다.

 

  • 1단계 - 환자의 상태 파악
  • 2단계 - 골반 좌우 근육 이완 훈련
  • 3단계 - 이완 및 수축 반복 훈련
  • 4단계 - 골반 근육 수축 유지
  • 5단계 - 기타 통증 및 기능 장애 개선 훈련

 

2. 약물

주로 쓰이는 약물로는 항콜린제와 교감신경 촉진제가 있다고 합니다. 민감해진 방광과 부교감 신경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는 약물인데요. 이때 약물의 경우, 단기간에 증상 완화를 기대하기 힘들기에 세 달 정도는 꾸준히 복용하는 것을 권한다고 합니다.

 

3. 체외 자기장

체외자기장은 자기장 생성기가 내장되어 있는 의자에 앉아 치료를 하는 요법이라고 합니다. 의자에서 나오는 자기장이 골반근육 및 요도 괄약근을 반복해서 수축시켜 증상 개선에 도움을 주는데요. 이때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보통 일주일에 2번, 회당 30분 이내로 진행되며 6주~8주 동안 꾸준히 받는 것을 권해드린다고 합니다. 물론, 환자의 상태, 증상에 따라 횟수와 기간은 달라질 수 있다고 합니다.

 

요실금 수술 치료법

 

​1. TOT

TOT는 요실금 중에서도 가장 인지도가 있는 술법이라고 합니다. 처진 요도에 의료용 테이프(메쉬)를 걸어주어 요도가 원래 위치로 올라갈 수 있게 도와주는 술법인데요. 메쉬가 힘이 없는 골반 근육을 대신해, 복부의 압력이 증가해도 요도가 처지지 않게끔 해준다라고 생각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 이때 약 1cm 정도만 절개하기 때문에 흉터가 작게 남으며 통증 또한 작은 편에 속하며, 시간 역시 15분 정도로 짧게 진행되어 수술 후 당일 퇴원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2. 미니 슬링

TOT와 마찬가지로 메쉬 테이프를 요도에 걸어주는 술법이라고 합니다. TOT와 다른 점은, 절개를 하지 않고 질벽을 통해 수술을 하기 때문에 흉터가 거의 없으며 통증도 적어 통증에 예민하신 분들께 추천드리는 술법입니다.

 

3. 이중복합슬링

이중복합슬링은 재발을 막는데 집중한 치료방법이라고 하는데요. 질전벽 근육과 방광, 요도 근육을 교정하는 술법으로 요도가 다시 처지는 일이 없게끔 주변 근육을 튼튼하게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때문에 미니 슬링, TOT로 처진 요도의 위치를 바로잡은 후에 이중복합슬링이 진행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즉, 이중복합슬링은 단독으로 시행하기보다 TOT, 미니슬링과 함께 시행하는 술법이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여성 요실금 검사 종류 및 증상완화 치료방법은?

 

여성 요실금 검사 종류 및 증상 완화, 치료 방법은?

여성 요실금은 문진과 배뇨 일지만으로도 여러 정보를 알 수 있지만, 좀 더 상세히 진단하려면 요역동학 검사, 하복부 비뇨기계 초음파, 염증 검사, 질강 안쪽 정밀 촬영의 4단계로 검진이 진행

healthyfowell.tistory.com

 

 

지금까지 요실금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치료에는 정답이 없기에 무작정 수술부터 생각하는 것은 좋은 생각이 아닐 수 있습니다. 때문에 방광이 민감한 절박성 요실금 증상이 있다면, 예민함을 조절하는 약물, 운동요법 등을 먼저 시행해 볼 수 있는데요. 내 증상에는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할지 잘 모를 수 있기에 경험과 노하우가 많은 의료전문가에게 원인 및 증상별로 어떤 치료가 필요한지 상담을 받아보는 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반응형